푸드

위스키 제조 과정 상세 설명 - 위스키 입문 가이드 4편

정보알랴주미 2025. 5. 1. 10:00
반응형

 

위스키 제조 과정 상세 설명 - 위스키 입문 가이드 4편

위스키 제조 과정 상세 설명
위스키 제조 과정 상세 설명

위스키를 마실 때마다 생각하게 됨. '이 복잡한 향과 맛은 대체 어떻게 만들어질까?'

이번 편에서는 위스키가 탄생하는 모든 과정을 쉽게 설명할 것임.

위스키를 진짜 이해하고 싶다면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임.

위스키 제조 과정 한눈에 보기

  • 1단계: 몰팅(Malting)
  • 2단계: 메싱(Mashing)
  • 3단계: 발효(Fermentation)
  • 4단계: 증류(Distillation)
  • 5단계: 숙성(Maturation)
  • 6단계: 병입(Bottling)

위스키 제조 과정
위스키 제조 과정

1단계. 몰팅(Malting)

몰팅은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임. 주로 보리를 사용함. 발아시키는 이유는 곡물 속 전분을 당분으로 변환시켜야 하기 때문임.

  • 보리를 물에 담가 싹을 틔움.
  • 적당히 자라면 건조시킴.
  • 이때 전통적인 스코틀랜드 스타일은 피트(이탄)를 태워서 건조함. 덕분에 특유의 스모키 향이 생김.

2단계. 메싱(Mashing)

메싱은 발아된 보리를 분쇄하고 뜨거운 물과 섞어 당분을 녹여내는 과정임. 이렇게 얻은 달콤한 액체를 '워트(Wort)'라고 부름.

  • 보리를 갈아낸 후 큰 탱크에 담고 뜨거운 물 부음.
  • 당분이 녹아 나오고, 고형물은 걸러냄.

3단계. 발효(Fermentation)

발효는 워트에 효모를 넣어 당분을 알코올로 변환시키는 과정임. 쉽게 말하면 '맥주'와 비슷한 액체가 만들어지는 단계임.

  • 효모를 첨가해 2~4일 동안 발효 진행.
  • 알코올 도수 약 7~10% 정도의 워시(Wash) 완성.

4단계. 증류(Distillation)

증류는 발효된 워시를 가열해서 알코올과 향미 성분을 농축시키는 과정임. 스카치 위스키는 주로 2번 증류, 아이리시 위스키는 3번 증류하는 경우가 많음.

  • 첫 번째 증류에서 로우 와인(Low Wines) 생성(도수 약 20~25%).
  • 두 번째 증류로 원하는 알코올과 향미 추출(도수 약 60~70%).
  • 증류기의 형태(포트 스틸, 칼럼 스틸)에 따라 맛과 특징이 달라짐.

5단계. 숙성(Maturation)

숙성은 위스키 맛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임. 무조건 오크통을 사용해야 하고, 대부분 최소 3년 이상 숙성함.

  • 새 오크통, 버번 캐스크, 셰리 캐스크 등 다양한 종류의 오크통 사용.
  • 숙성 과정에서 오크통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맛과 향이 변함.
  • 기후, 습도, 온도에 따라 숙성 결과도 다르게 나옴.

6단계. 병입(Bottling)

숙성이 완료된 위스키는 병입 전 여러 작업을 거침.

  • 물로 도수를 맞추는 작업(캐스크 스트렝스 제품은 생략).
  • 필터링을 통해 불순물 제거.
  • 드디어 병에 담겨 세상에 나옴.

정리 - 위스키 한 병이 만들어지기까지

위스키 한 병은 최소 3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고, 몰팅, 메싱, 발효, 증류, 숙성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탄생함. 각각의 과정마다 장인의 노하우와 자연 환경이 고스란히 녹아 있음. 그래서 위스키를 마실 때는 단순한 술 한 잔이 아니라, 시간과 정성을 함께 마신다고 생각하면 됨.

참고하면 좋은 사이트

이상으로 '위스키 제조 과정 상세 설명'을 마쳤음. 다음 편에서는 '초보자를 위한 위스키 선택 가이드'로 이어갈 예정임. 계속 함께하길 바람.

 

반응형